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세계여행위키
검색
검색
보이기
계정 만들기
로그인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기여
토론
즉묵노주
편집하기 (부분)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역사 === [[파일:즉묵노주 박물관.jpg|섬네일|즉묵노주 박물관]] 즉묵노주의 양조 역사는 2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정식 문자 기록으로는 북송(北宋) 시대부터 나타난다. 고대 즉묵 지역은 땅이 비옥하여 수수(黍米) 생산량이 많았고, 특히 알이 굵고 둥근 대황미(大黄米)는 황주 양조의 최상급 원료였다. * '''고대 기록 및 명칭 변화:'''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료주(醪酒)'라고 불렸다. 오랜 역사 속에서 다양한 일화와 함께 여러 별칭을 얻었다. * 춘추시대 제나라 경공(齐景公)이 라오산을 찾아 마시고 그 맛에 감탄하여 '선주(仙酒)'라 칭했다는 설이 있다. * 전국시대 제나라 장수 전단(田单)이 화우진(火牛阵)으로 연나라 군대를 격파한 후, 이 술로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았다고 하여 '우주(牛酒)'라는 별칭이 붙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 진시황(秦始皇)이 불로장생약을 찾아 동쪽의 라오산에 왔을 때 이 술을 마시고 '수주(寿酒)'라 불렀다고도 한다. * 여러 군주들이 즐겨 마셨기에 '진장(珍浆, 진귀한 장액)'이라고도 불렸다. * 당나라 중기에는 근골 강화 효능이 알려지면서 '골로주(骼髅酒)' 또는 '고로주(骷辘酒)'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 송대(宋代)에 이르러, 다른 지역의 황주와 구분하고 교역의 편의를 위해 저장 기간이 길고 품질이 우수하다는 점을 강조하여 '즉묵노주(即墨老酒)'라는 명칭으로 개칭되었으며, 이 이름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 청대(清代)에는 '노간착(老干榨)'이라고도 불렸다. * '''근현대 발전:''' 청나라 도광 연간(道光年间, 1821-1850)에 즉묵노주의 생산과 판매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중국 전역의 주요 상업 도시뿐만 아니라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로 수출될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 그러나 20세기 전반기에는 사회 혼란 속에서 생산이 위축되기도 했다. 1932년 《교제철로조사보고(胶济铁路调查报告)》에는 즉묵에 황주 주관(黄酒馆) 500여 곳이 있었고 연간 생산량이 100만 근(약 50만 kg)에 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인 1949년, 인민정부는 기존의 양조장들을 기반으로 1950년에 국영 즉묵황주창(即墨黄酒厂)을 설립하였다. 전통 양조 기법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면서 생산량은 점차 증가하여, 1951년 20톤에 불과했던 연간 생산량이 1984년에는 887톤에 이르렀다. 이후 꾸준히 품질을 개선하고 생산을 확대하여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
요약:
세계여행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세계여행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