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두시: 두 판 사이의 차이
WorldTravelWiki (토론 | 기여) |
WorldTravelWiki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파일:판다.jpg|섬네일|청두 자이언트판다 번식연구기지]] | |||
== 개요 == | == 개요 == | ||
[[청두시]](成都, Chengdu)는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四川省)의 성도이자 부성급시로, 중국 서남부 지역의 중요한 경제, 금융, 상업, 문화, 교통 및 통신 허브이다. '천부지국(天府之国, 하늘이 내린 풍요로운 땅)'이라는 별칭으로 유명하며, 유구한 역사와 느긋한 생활 문화, 그리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자이언트 판다]](大熊猫)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매운맛과 얼얼한 맛([[마라]](麻辣))이 특징인 [[쓰촨 요리]](四川料理)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 [[청두시]](成都, Chengdu)는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四川省)의 성도이자 부성급시로, 중국 서남부 지역의 중요한 경제, 금융, 상업, 문화, 교통 및 통신 허브이다. '천부지국(天府之国, 하늘이 내린 풍요로운 땅)'이라는 별칭으로 유명하며, 유구한 역사와 느긋한 생활 문화, 그리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자이언트 판다]](大熊猫)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매운맛과 얼얼한 맛([[마라]](麻辣))이 특징인 [[쓰촨 요리]](四川料理)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 ||
32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 | == 도착(Get In) == | ||
청두는 중국 내 다른 도시 및 해외 여러 도시와 연결되는 주요 교통 거점이다. | 청두는 중국 내 다른 도시 및 해외 여러 도시와 연결되는 주요 교통 거점이다. | ||
78번째 줄: | 79번째 줄: | ||
차량 호출 서비스 [[디디추싱]](滴滴出行, DiDi)이 택시보다 편리하고 저렴한 경우가 많아 현지인과 외국인 모두 널리 이용한다. 앱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고 예상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 차량 호출 서비스 [[디디추싱]](滴滴出行, DiDi)이 택시보다 편리하고 저렴한 경우가 많아 현지인과 외국인 모두 널리 이용한다. 앱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고 예상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 ||
[[파일:두보초당.jpg|섬네일|두보초당]] | |||
[[파일:무후사.jpg|섬네일|무후사]] | |||
== 할 것(Do) == | == 할 것(Do) == | ||
청두와 근교에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있다. | 청두와 근교에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있다. | ||
105번째 줄: | 108번째 줄: | ||
* '''결제''': '''[[알리페이]](支付宝, Alipay)'''와 '''[[위챗페이]](微信支付, WeChat Pay)''' 등 [[모바일 결제]]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외국인의 경우 사용 설정이 다소 복잡할 수 있으나, 점차 개선되고 있다. 신용카드는 대형 호텔이나 백화점 외에는 사용이 제한적이며, 현금 사용 빈도도 낮아지는 추세이다. | * '''결제''': '''[[알리페이]](支付宝, Alipay)'''와 '''[[위챗페이]](微信支付, WeChat Pay)''' 등 [[모바일 결제]]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외국인의 경우 사용 설정이 다소 복잡할 수 있으나, 점차 개선되고 있다. 신용카드는 대형 호텔이나 백화점 외에는 사용이 제한적이며, 현금 사용 빈도도 낮아지는 추세이다. | ||
[[파일:화과.jpg|섬네일|청두의 화과]] | |||
== 음식(Eat) == | == 음식(Eat) == | ||
[[파일:탄탄면.jpg|섬네일|탄탄면]] | |||
청두는 [[유네스코]] 지정 '미식 창의 도시'로, [[쓰촨 요리]](川菜, 천채)의 본고장이다. | 청두는 [[유네스코]] 지정 '미식 창의 도시'로, [[쓰촨 요리]](川菜, 천채)의 본고장이다. | ||
* '''대표 요리 및 식문화''': [[쓰촨 요리]]는 매운맛(辣, 라)과 얼얼한 맛(麻, 마)이 조화를 이루는 [[마라]](麻辣) 풍미가 특징이다. 신선한 재료와 다양한 향신료를 사용하며, 조리법이 다채롭다. | * '''대표 요리 및 식문화''': [[쓰촨 요리]]는 매운맛(辣, 라)과 얼얼한 맛(麻, 마)이 조화를 이루는 [[마라]](麻辣) 풍미가 특징이다. 신선한 재료와 다양한 향신료를 사용하며, 조리법이 다채롭다. | ||
* '''[[마파두부]](麻婆豆腐)''': 순두부에 다진 고기와 두반장, 화자오 등을 넣어 만든 대표적인 쓰촨 요리. | * '''[[마파두부]](麻婆豆腐)''': 순두부에 다진 고기와 두반장, 화자오 등을 넣어 만든 대표적인 쓰촨 요리. | ||
* '''[[ | * '''[[궁보기정]](宫保鸡丁, 쿵파오 치킨)''': 닭고기를 땅콩, 고추 등과 함께 볶은 요리. 매콤달콤한 맛이 특징. | ||
* '''[[ | * '''[[회과육]](回锅肉)''': 돼지고기를 삶았다가 다시 채소와 함께 볶은 요리. | ||
* '''[[ | * '''[[어향육사]](鱼香肉丝)''': 돼지고기를 채 썰어 목이버섯, 죽순 등과 함께 새콤달콤하게 볶은 요리 (생선 향이 난다고 해서 붙은 이름). | ||
* '''[[ | * '''[[탄탄몐]](担担面)''': 다진 고명과 매콤한 소스를 비벼 먹는 면 요리. | ||
* '''[[룽차오서우]](龙抄手)''': 얇은 피의 [[훈툰]](馄饨, 만둣국과 유사)으로, 맑은 탕 또는 매콤한 양념에 비벼 먹는다. | * '''[[룽차오서우]](龙抄手)''': 얇은 피의 [[훈툰]](馄饨, 만둣국과 유사)으로, 맑은 탕 또는 매콤한 양념에 비벼 먹는다. | ||
* '''[[촨촨샹]](串串香)''': 다양한 재료를 꼬치에 꿰어 [[훠궈]](火锅) 육수에 담가 익혀 먹는 음식. | * '''[[촨촨샹]](串串香)''': 다양한 재료를 꼬치에 꿰어 [[훠궈]](火锅) 육수에 담가 익혀 먹는 음식. | ||
* '''[[ | * '''[[부처폐편]](夫妻肺片)''': 소 내장(허파, 위 등)을 얇게 썰어 매콤한 양념에 무친 차가운 요리. | ||
* '''[[중수이자오]](钟水饺)''': 돼지고기 소만 들어간 물만두를 매콤달콤한 간장 소스에 비벼 먹는 요리. | * '''[[중수이자오]](钟水饺)''': 돼지고기 소만 들어간 물만두를 매콤달콤한 간장 소스에 비벼 먹는 요리. | ||
* '''[[훠궈]](火锅, Hot Pot)''': 청두 사람들이 가장 사랑하는 음식 중 하나. 맵고 얼얼한 홍탕(红汤)과 맵지 않은 백탕(白汤) 또는 둘을 나눈 원앙탕(鸳鸯锅)에 고기, 채소, 해산물 등 다양한 재료를 익혀 먹는다. | * '''[[훠궈]](火锅, Hot Pot)''': 청두 사람들이 가장 사랑하는 음식 중 하나. 맵고 얼얼한 홍탕(红汤)과 맵지 않은 백탕(白汤) 또는 둘을 나눈 원앙탕(鸳鸯锅)에 고기, 채소, 해산물 등 다양한 재료를 익혀 먹는다. | ||
* '''길거리 음식 및 간식(小吃, 샤오츠)''': [[진리 거리]], [[콴자이샹즈]] 등에서 다양한 간식을 맛볼 수 있다. [[량펀]](凉粉 | * '''길거리 음식 및 간식(小吃, 샤오츠)''': [[진리 거리]], [[콴자이샹즈]] 등에서 다양한 간식을 맛볼 수 있다. [[량펀]](凉粉), [[궈쿠이]](锅盔, 납작한 빵 안에 고기나 채소를 넣은 것), [[빙펀]](冰粉, 여름철 디저트), [[마라탕]](麻辣烫) 등. | ||
* '''식당 종류 및 가격대''': 저렴한 면 요리 가게나 간식점(10~30위안), 일반 식당(1인 50~100위안), 고급 레스토랑(1인 150위안 이상)까지 다양하다. | * '''식당 종류 및 가격대''': 저렴한 면 요리 가게나 간식점(10~30위안), 일반 식당(1인 50~100위안), 고급 레스토랑(1인 150위안 이상)까지 다양하다. | ||
* '''식사 예절''': 특별히 엄격한 예절은 없으나, 여럿이 식사할 때는 개인 접시를 사용하고 공용 젓가락(公筷, 공콰이)을 쓰는 것이 좋다. | * '''식사 예절''': 특별히 엄격한 예절은 없으나, 여럿이 식사할 때는 개인 접시를 사용하고 공용 젓가락(公筷, 공콰이)을 쓰는 것이 좋다. | ||
157번째 줄: | 162번째 줄: | ||
* [[주청두 대한민국 총영사관]]: +86-28-8616-5800 | * [[주청두 대한민국 총영사관]]: +86-28-8616-5800 | ||
== 기타 정보 | == 기타 정보(Connect / Cope) == | ||
'''[[위챗페이]](微信支付, WeChat Pay)'''가 거의 모든 곳에서 통용되는 주된 결제 수단이다. 외국인 여행객도 국제 신용카드 연동 등을 통해 사용 가능하도록 개선되고 있으나, 사전에 계정 설정 및 인증이 필요하다. | '''[[위챗페이]](微信支付, WeChat Pay)'''가 거의 모든 곳에서 통용되는 주된 결제 수단이다. 외국인 여행객도 국제 신용카드 연동 등을 통해 사용 가능하도록 개선되고 있으나, 사전에 계정 설정 및 인증이 필요하다. | ||
* '''신용카드/ATM''': 국제 신용카드(Visa, MasterCard 등)는 고급 호텔, 백화점, 일부 외국계 상점 등 제한적인 곳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은행 ATM에서 국제 현금카드(Cirrus, Plus 등)로 위안화 인출은 가능하나,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다. [[중국은행]](中国银行), [[공상은행]](工商银行), [[건설은행]](建设银行), [[농업은행]](农业银行) 등 주요 은행 ATM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 * '''신용카드/ATM''': 국제 신용카드(Visa, MasterCard 등)는 고급 호텔, 백화점, 일부 외국계 상점 등 제한적인 곳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은행 ATM에서 국제 현금카드(Cirrus, Plus 등)로 위안화 인출은 가능하나,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다. [[중국은행]](中国银行), [[공상은행]](工商银行), [[건설은행]](建设银行), [[농업은행]](农业银行) 등 주요 은행 ATM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 ||
172번째 줄: | 177번째 줄: | ||
* '''시차''': 중국은 국토가 넓음에도 불구하고 전국이 단일 시간대([[베이징]] 시간, UTC+8)를 사용한다. [[한국]](UTC+9)보다 '''1시간 느리다'''. | * '''시차''': 중국은 국토가 넓음에도 불구하고 전국이 단일 시간대([[베이징]] 시간, UTC+8)를 사용한다. [[한국]](UTC+9)보다 '''1시간 느리다'''. | ||
* '''[[주청두 대한민국 총영사관]]''': 긴급 상황 발생 시 연락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주소: 四川省成都市锦江区东御街18号百扬大厦 14楼) | * '''[[주청두 대한민국 총영사관]]''': 긴급 상황 발생 시 연락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주소: 四川省成都市锦江区东御街18号百扬大厦 14楼) | ||
[[분류:중국의 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