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상하이라는 지명은 11세기 쑹(宋, 송)나라 시대에 처음 등장했다. '상하이'라는 글자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논쟁이 있었으나, 중국 역사학자들은 당나라 시대에 현재의 상하이 지역이 해면 아래에 있다가 육지화되면서 문자 그대로 '바다 위'에 땅이 출현한 것에서 기인한다고 결론 내렸다.
상하이라는 지명은 11세기 쑹(宋, 송)나라 시대에 처음 등장했다. '상하이'라는 글자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논쟁이 있었으나, 중국 역사학자들은 당나라 시대에 현재의 상하이 지역이 해면 아래에 있다가 육지화되면서 문자 그대로 '바다 위'에 땅이 출현한 것에서 기인한다고 결론 내렸다.


== 역사 ==
=== 역사 ===
상하이 지역의 역사는 고대 저우(周, 주)나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친(秦, 진), 신(新), 한(漢, 한) 이후에는 우(呉, 오), 진(晋, 진), 쑹(宋, 송), 남제(南斉), 양(梁, 양), 진(陳, 진), 수(隋, 수) 시대를 거쳐 당나라 시대에는 화팅현(華亭県, 화정현)의 일부였다. 쑤저우허(蘇州河, 소주하) 남쪽에 상하이푸(上海浦, 상해포)라는 마을이 생겨났고, 쑹(宋, 송)나라 시대에는 상하이진(上海鎮, 상해진)이라 불리게 되었다.
상하이 지역의 역사는 고대 저우(周, 주)나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친(秦, 진), 신(新), 한(漢, 한) 이후에는 우(呉, 오), 진(晋, 진), 쑹(宋, 송), 남제(南斉), 양(梁, 양), 진(陳, 진), 수(隋, 수) 시대를 거쳐 당나라 시대에는 화팅현(華亭県, 화정현)의 일부였다. 쑤저우허(蘇州河, 소주하) 남쪽에 상하이푸(上海浦, 상해포)라는 마을이 생겨났고, 쑹(宋, 송)나라 시대에는 상하이진(上海鎮, 상해진)이라 불리게 되었다.


청나라 시대, 아편전쟁을 종결시킨 1842년 난징 조약(南京条約, 남경조약)에 따라 상하이는 조약항으로 개항했다. 이를 계기로 영국, 프랑스, 미국 등의 상하이 조계(上海租界)가 형성되었고, 일본 역시 조계를 설치하여 훙커우구(虹口区, 홍구구)는 '작은 도쿄(小東京, 소동경)'라고 불리기도 했다.
청나라 시대, 아편전쟁을 종결시킨 1842년 난징 조약(南京条約, 남경조약)에 따라 상하이는 조약항으로 개항했다. 이를 계기로 영국, 프랑스, 미국 등의 상하이 조계(上海租界)가 형성되었고, 일본 역시 조계를 설치하여 훙커우구(虹口区, 홍구구)는 '작은 도쿄(小東京, 소동경)'라고 불리기도 했다.


== 언어 ==
=== 언어 ===
푸퉁화(普通話, 보통화)는 학교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된다. 상하이어(上海語, 상해어)는 우어(吳語, 오어)를 대표하는 방언이다. 상하이에는 주변 장쑤성(江蘇省, 강소성), 저장성(浙江省, 절강성)에서 많은 노동자가 유입되었기 때문에, 그들 중 다수가 거주하는 상하이역(上海駅, 상해역) 주변에서는 상하이어(上海語)와는 다른 언어인 '쑤베이어(蘇北語, 소북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푸퉁화(普通話, 보통화)는 학교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된다. 상하이어(上海語, 상해어)는 우어(吳語, 오어)를 대표하는 방언이다. 상하이에는 주변 장쑤성(江蘇省, 강소성), 저장성(浙江省, 절강성)에서 많은 노동자가 유입되었기 때문에, 그들 중 다수가 거주하는 상하이역(上海駅, 상해역) 주변에서는 상하이어(上海語)와는 다른 언어인 '쑤베이어(蘇北語, 소북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 지리 ==
=== 지리 ===
창장(長江, 장강) 하구 남쪽 기슭에 위치하며, 하구의 섬인 충밍다오(崇明島, 숭명도), 창싱다오(長興島, 장흥도), 헝사다오(横沙岛, 횡사도) 등을 포함한다. 북쪽과 동쪽은 장쑤성(江蘇省, 강소성), 서남쪽은 저장성(浙江省, 절강성)과 접하며, 동쪽은 동중국해(東海, 동해)에 면한다. 시가지는 창장(長江)의 지류인 황푸강(黄浦江, 황포강)을 거슬러 올라간 곳에 발달했다. 황푸강(黄浦江) 하구는 우쑹커우(吴淞口, 오송구)라 불리는 항구가 있으며, 충밍다오(崇明島) 등의 섬이나 시외로 항해하는 데 이용된다.
창장(長江, 장강) 하구 남쪽 기슭에 위치하며, 하구의 섬인 충밍다오(崇明島, 숭명도), 창싱다오(長興島, 장흥도), 헝사다오(横沙岛, 횡사도) 등을 포함한다. 북쪽과 동쪽은 장쑤성(江蘇省, 강소성), 서남쪽은 저장성(浙江省, 절강성)과 접하며, 동쪽은 동중국해(東海, 동해)에 면한다. 시가지는 창장(長江)의 지류인 황푸강(黄浦江, 황포강)을 거슬러 올라간 곳에 발달했다. 황푸강(黄浦江) 하구는 우쑹커우(吴淞口, 오송구)라 불리는 항구가 있으며, 충밍다오(崇明島) 등의 섬이나 시외로 항해하는 데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