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시: 두 판 사이의 차이
WorldTravel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큰 목차|1=개요}} 섬네일|상하이 푸동 지구 == 개요 == '''상하이'''(上海, Shanghai)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다. 중국 동남부 연해 지역의 장쑤성(江蘇省, 강소성)과 저장성(浙江省, 절강성)에 인접하며, 창장(長江, 장강) 하구와 항저우만(杭州湾, 항주만)에 남북으로 끼여 있다. 동중국해로 돌출된 창장 삼각주(長江三角洲, 장강 삼각주)... |
WorldTravelWiki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상하이'''(上海, Shanghai)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다. | '''상하이'''(上海, Shanghai)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다. | ||
중국 동남부 연해 지역의 장쑤성(江蘇省, 강소성)과 저장성(浙江省, 절강성)에 인접하며, 창장(長江, 장강) 하구와 항저우만(杭州湾, 항주만)에 남북으로 끼여 있다. 동중국해로 돌출된 창장 삼각주(長江三角洲, 장강 삼각주)에 자리한다. 개혁개방 정책 이후, 중국 경제 발전의 상징으로서 높은 경제 성장을 지속하여 상업, 공업, 금융, 무역, 교통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 2022년 기준 상주인구는 2,400만 명을 넘고, 2022년 시내 총생산은 약 4조 4652억 8000만 위안(약 85조 원)에 달한다. | 중국 동남부 연해 지역의 장쑤성(江蘇省, 강소성)과 저장성(浙江省, 절강성)에 인접하며, 창장(長江, 장강) 하구와 항저우만(杭州湾, 항주만)에 남북으로 끼여 있다. 동중국해로 돌출된 창장 삼각주(長江三角洲, 장강 삼각주)에 자리한다. 개혁개방 정책 이후, 중국 경제 발전의 상징으로서 높은 경제 성장을 지속하여 상업, 공업, 금융, 무역, 교통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 2022년 기준 상주인구는 2,400만 명을 넘고, 2022년 시내 총생산은 약 4조 4652억 8000만 위안(약 85조 원)에 달한다. |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에 의해 국가중심도시 중 하나로 지정되었으며, 모리 기념재단 도시전략연구소가 발표한 2023년 '세계 도시 종합력 순위'(Global Power City Index, GPCI)에서 세계 15위의 도시로 평가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에 의해 국가중심도시 중 하나로 지정되었으며, 모리 기념재단 도시전략연구소가 발표한 2023년 '세계 도시 종합력 순위'(Global Power City Index, GPCI)에서 세계 15위의 도시로 평가되었다. 상하이는 중국 최대의 경제 도시다. 2014년 시내 총생산은 2조 3,560억 위안으로 베이징(北京, 북경)을 넘어 중국 1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상하이 도시권의 총생산은 5,647억 달러로 세계 8위의 경제 규모를 갖추었다. 아시아에서는 도쿄(東京, 동경) 도시권, 서울 특별시 도시권, 오사카(大阪, 대판) 도시권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일본경제연구센터는 2035년에는 상하이가 뉴욕, 도쿄(東京), 로스앤젤레스에 이어 세계 4위의 경제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2020년 9월 조사에서는 상하이가 세계 3위의 금융 센터로 부상하며, 도쿄(東京)와 홍콩(香港)을 제치고 처음으로 아시아 1위에 올랐다. | ||
[[파일:상하이 푸동564534.png|섬네일|상하이 푸동 지구]] | |||
== 개요 == | |||
중국어 정식 명칭은 상하이시(上海市)이다. 약칭은 '''후'''(滬)이며, "후두(沪渎)"라고도 불린다. 이는 상하이시 북동쪽을 흐르는 우쑹강(吳淞江, 오송강, 쑤저우허(蘇州河, 소주하)) 하류 부분의 옛 이름에서 유래했다. '후(沪)'는 상하이시 자동차 번호판의 식별 기호로 사용된다. | 중국어 정식 명칭은 상하이시(上海市)이다. 약칭은 '''후'''(滬)이며, "후두(沪渎)"라고도 불린다. 이는 상하이시 북동쪽을 흐르는 우쑹강(吳淞江, 오송강, 쑤저우허(蘇州河, 소주하)) 하류 부분의 옛 이름에서 유래했다. '후(沪)'는 상하이시 자동차 번호판의 식별 기호로 사용된다. | ||
상하이라는 지명은 11세기 쑹(宋, 송)나라 시대에 처음 등장했다. '상하이'라는 글자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논쟁이 있었으나, 중국 역사학자들은 당나라 시대에 현재의 상하이 지역이 해면 아래에 있다가 육지화되면서 문자 그대로 '바다 위'에 땅이 출현한 것에서 기인한다고 결론 내렸다. | 상하이라는 지명은 11세기 쑹(宋, 송)나라 시대에 처음 등장했다. '상하이'라는 글자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논쟁이 있었으나, 중국 역사학자들은 당나라 시대에 현재의 상하이 지역이 해면 아래에 있다가 육지화되면서 문자 그대로 '바다 위'에 땅이 출현한 것에서 기인한다고 결론 내렸다. | ||
== 역사 == | |||
상하이 지역의 역사는 고대 저우(周, 주)나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친(秦, 진), 신(新), 한(漢, 한) 이후에는 우(呉, 오), 진(晋, 진), 쑹(宋, 송), 남제(南斉), 양(梁, 양), 진(陳, 진), 수(隋, 수) 시대를 거쳐 당나라 시대에는 화팅현(華亭県, 화정현)의 일부였다. 쑤저우허(蘇州河, 소주하) 남쪽에 상하이푸(上海浦, 상해포)라는 마을이 생겨났고, 쑹(宋, 송)나라 시대에는 상하이진(上海鎮, 상해진)이라 불리게 되었다. | |||
청나라 시대, 아편전쟁을 종결시킨 1842년 난징 조약(南京条約, 남경조약)에 따라 상하이는 조약항으로 개항했다. 이를 계기로 영국, 프랑스, 미국 등의 상하이 조계(上海租界)가 형성되었고, 일본 역시 조계를 설치하여 훙커우구(虹口区, 홍구구)는 '작은 도쿄(小東京, 소동경)'라고 불리기도 했다. | |||
== 언어 == | |||
푸퉁화(普通話, 보통화)는 학교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된다. 상하이어(上海語, 상해어)는 우어(吳語, 오어)를 대표하는 방언이다. 상하이에는 주변 장쑤성(江蘇省, 강소성), 저장성(浙江省, 절강성)에서 많은 노동자가 유입되었기 때문에, 그들 중 다수가 거주하는 상하이역(上海駅, 상해역) 주변에서는 상하이어(上海語)와는 다른 언어인 '쑤베이어(蘇北語, 소북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 |||
== 지리 == | == 지리 == | ||
19번째 줄: | 26번째 줄: | ||
=== 기후 === | === 기후 === | ||
쾨펜의 기후 구분으로는 온난 습윤 기후(Cfa)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17.5℃이다. 1월 평균 기온은 5.4℃로 가고시마현(鹿児島県, 가고시마현)과 같은 위도임에도 불구하고 추운 편이다. 이는 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한기(寒氣)의 영향으로, 아침저녁으로는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기도 한다. 7월 평균 기온 최고 기록은 32.0°C(2013년, 2017년), 8월 평균 기온 최고 기록은 31.9°C(2024년)이며, 최고 기온 극값은 40.9℃(2017년 7월 21일), 최저 기온 극값은 -12.1℃(1893년 1월 13일)이다. | 쾨펜의 기후 구분으로는 온난 습윤 기후(Cfa)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17.5℃이다. 1월 평균 기온은 5.4℃로 가고시마현(鹿児島県, 가고시마현)과 같은 위도임에도 불구하고 추운 편이다. 이는 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한기(寒氣)의 영향으로, 아침저녁으로는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기도 한다. 7월 평균 기온 최고 기록은 32.0°C(2013년, 2017년), 8월 평균 기온 최고 기록은 31.9°C(2024년)이며, 최고 기온 극값은 40.9℃(2017년 7월 21일), 최저 기온 극값은 -12.1℃(1893년 1월 13일)이다. | ||
{| class="wikitable" | |||
=== | |+ 상하이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 |||
! 평균 최고 기온 (°C) | |||
| style="background:#B0E2FF" | 8.7 || style="background:#B0E2FF" | 10.7 || style="background:#E0FFFF" | 14.8 || style="background:#FFFFE0" | 20.6 || style="background:#FFE4B5" | 25.5 || style="background:#FFDAB9" | 28.3 || style="background:#FFDAB9" | 32.8 || style="background:#FFDAB9" | 32.3 || style="background:#FFE4B5" | 28.5 || style="background:#FFFFE0" | 23.6 || style="background:#E0FFFF" | 17.9 || style="background:#B0E2FF" | 11.5 | |||
|- | |||
! 평균 최저 기온 (°C) | |||
| style="background:#ADD8E6" | 1.9 || style="background:#ADD8E6" | 3.3 || style="background:#E0FFFF" | 6.8 || style="background:#FFFFE0" | 11.9 || style="background:#FFFFE0" | 17.2 || style="background:#FFE4B5" | 21.5 || style="background:#FFC0CB" | 25.8 || style="background:#FFC0CB" | 25.7 || style="background:#FFE4B5" | 21.6 || style="background:#FFFFE0" | 15.9 || style="background:#E0FFFF" | 10.1 || style="background:#ADD8E6" | 3.9 | |||
|- | |||
! 평균 강수량 (mm) | |||
| 70.4 || 65.4 || 95.4 || 82.5 || 93.2 || 207.3 || 148.0 || 187.1 || 118.1 || 68.4 || 59.4 || 50.3 | |||
|} | |||
== 행정 구역 == | == 행정 구역 == | ||
상하이시는 16개 구(区)로 구성된다. 푸둥 신구(浦東新区, 포동신구)는 부성급(副省級) 시할구(지급 행정구 레벨)로 지정되어 광범위한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 상하이는 창장 삼각주(長江三角洲, 장강 삼각주)의 하구 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명에 푸(浦), 징(涇), 차오(漕), 탕(蕩), 방(浜), 차오(橋) 등 물과 관련된 한자가 자주 사용되는 특징을 보인다. 상하이시는 16개 구(区)로 구성된다. 푸둥 신구(浦東新区, 포동신구)는 부성급(副省級) 시할구(지급 행정구 레벨)로 지정되어 광범위한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 ||
'''황푸구(黄浦区, 황포구)''': 2011년 황푸구(黄浦区)와 루완구(盧湾区, 노만구)가 합병되었다. 시 인민정부와 와이탄(外灘, 외탄)이 위치한 상하이의 중심부이다. 구 황푸구(黄浦区)는 과거 영국 상하이 조계(上海租界) 지역으로, 20세기부터 금융 및 무역의 중심지였다. 구 루완구(盧湾区)는 과거 상하이 프랑스 조계, 장난 조선소(江南造船廠, 강남조선창)가 있던 곳으로, 중국 근대 공업의 발상지이다. | '''황푸구(黄浦区, 황포구)''': 2011년 황푸구(黄浦区)와 루완구(盧湾区, 노만구)가 합병되었다. 시 인민정부와 와이탄(外灘, 외탄)이 위치한 상하이의 중심부이다. 구 황푸구(黄浦区)는 과거 영국 상하이 조계(上海租界) 지역으로, 20세기부터 금융 및 무역의 중심지였다. 구 루완구(盧湾区)는 과거 상하이 프랑스 조계, 장난 조선소(江南造船廠, 강남조선창)가 있던 곳으로, 중국 근대 공업의 발상지이다. | ||
35번째 줄: | 52번째 줄: | ||
'''푸시(浦西, 포서):''' 황푸강(黄浦江) 서쪽 지역으로, 위위안(豫園, 예원)을 중심으로 한 구시가지와 구 조계 시대부터의 금융, 상업 지구가 포함된다. | '''푸시(浦西, 포서):''' 황푸강(黄浦江) 서쪽 지역으로, 위위안(豫園, 예원)을 중심으로 한 구시가지와 구 조계 시대부터의 금융, 상업 지구가 포함된다. | ||
== 교통 == | == 교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