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베이징환로

세계여행위키

베이징 환로(北京环路)베이징시의 도시 계획 및 교통 시스템의 핵심을 이루는 순환도로망을 지칭한다. 현재 존재하거나 계획 중인 총 11개의 환로 개념이 있으며, 이는 1환로부터 7환로 및 그 사이에 존재하는 2.5환로, 3.5환로, 4.5환로, 5.5환로 등을 포함한다. 이 도로는 도시의 확장과 발전에 따라 점진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베이징의 지리적 구조 이해, 교통 분산, 지역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베이징 환상 지도
베이징 환상 지도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베이징 환로는 자금성천안문 광장을 중심으로 동심원 또는 사각형 형태로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순환형 도로 체계이다. 각 환로는 번호가 작을수록 도심에 가깝고, 클수록 외곽에 위치한다. 주요 간선도로 및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도시 내외부의 교통을 원활하게 하는 동맥 역할을 수행한다. 환로 시스템은 단순히 도로망을 넘어 도시의 구조, 발전 단계, 생활권 등을 파악하는 기준점으로도 활용된다.

중요성[편집 | 원본 편집]

  • 지리적 기준점: 특정 지역의 위치를 설명하거나 파악할 때 몇 환로 내/외 또는 몇 환로와 몇 환로 사이에 있는지를 기준으로 삼아 도심에서의 거리와 방향을 가늠할 수 있다.
  • 도시 발전 지표: 환로 번호에 따라 도심(구도심, 역사지구)과 외곽(신도시, 상업지구, 공업지구)의 지역적 특성이 구분되며, 이는 베이징의 도시 확장 과정을 보여준다.
  • 교통 분산 및 연결: 도심 교통량을 외곽으로 분산시키고, 시내와 외곽 지역, 위성도시, 인근 지역(특히 7환로의 경우 징진지 광역권)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교통의 중추이다.
  • 사회경제적 지표: 일반적으로 안쪽 환로에 가까울수록 부동산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등, 특정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가늠하는 참고 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베이징의 환로 건설은 도시 발달과 함께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 1환로 개념은 명청 시기에는 없었으나, 중화민국 시기 노면전차 노선과 1950년대 도로를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현재 공식적인 환로는 아니다.
  • 2환로는 옛 내성 성벽 자리를 따라 건설되어 1992년 완전 개통되었다. 중국 최초의 완전 입체교차 방식 도시 순환 고속도로이다.
  • 3환로는 1994년 전 구간이 개통되어 실질적인 도시 순환도로의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 4환로는 2001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도시 고속도로 기준으로 건설되었다.
  • 5환로는 2003년 개통되었으며, 초기에는 유료 고속도로였으나 2004년 무료 도시 쾌속도로로 전환되었다.
  • 6환로는 베이징 외곽 위성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로 2009년 전 구간 개통되었다.
  • 7환로(G95)는 2018년 8월 마지막 구간 개통으로 완전한 순환선을 이루었다.

각 환로 상세[편집 | 원본 편집]

1환로 (개념상)[편집 | 원본 편집]

공식적으로 지정된 환로는 아니나, 역사적으로 자금성 주변 도로, 특히 과거 노면전차 순환 노선(톈안먼-시단-시쓰-핑안리-디안먼-구러우-자오다오커우-베이신차오-둥쓰-둥단-톈안먼)을 기반으로 한 개념이다. 현재는 환로로 간주하지 않는다.

2환로[편집 | 원본 편집]

  • 총 길이: 약 32.7km
  • 개통: 1992년 9월 완전 개통 (북쪽 구간 1980년, 남쪽 구간 1991년)
  • 특징: 옛 베이징 내성(內城) 성벽 자리를 따라 건설. 전 구간 완전 폐쇄형, 완전 입체교차 방식의 도시 쾌속도로. 지하철 2호선이 노선을 따라 운행된다.

2.5환로[편집 | 원본 편집]

  • 특징: 2환로와 3환로 사이의 교통량 분산을 목적으로 계획된 보조 간선도로망. 완전한 순환 형태가 아니며, 광허리중루(广和里中路) 등이 이 개념에 포함된다. 2011년 계획이 언급되었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이다.

3환로[편집 | 원본 편집]

  • 총 길이: 약 48.3km
  • 개통: 1994년 완전 개통 (부분 개통은 1958년부터 시작, 서남 구간 1981년 완성)
  • 특징: 베이징 최초로 완전한 순환 형태를 갖춘 도로. 도시 중심부와 주요 상업 및 주거 지역을 연결하며 교통량이 매우 많다.

3.5환로[편집 | 원본 편집]

  • 특징: 3환로와 4환로 사이의 단절된 도로를 연결하고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계획된 도로망. 바거우춘루(巴沟村路), 시다왕루 남쪽 연장선(西大望路南延), 스류좡루 서쪽 연장선(石榴庄路西延) 등이 포함된다. 2016년 이후 5년 내 완성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4환로[편집 | 원본 편집]

  • 총 길이: 약 65.3km
  • 개통: 2001년 6월 완전 개통 (부분 개통은 1990년 아시안 게임 이전 시작)
  • 특징: 도심에서 약 8km 반경. 왕복 8차선 도시 고속도로(高速公路) 기준으로 설계되어 2, 3환로보다 높은 수준으로 건설되었다.

4.5환로[편집 | 원본 편집]

  • 특징: 4환로와 5환로 사이, 특히 차오양구(朝阳区)의 남북 교통 연결 강화를 위해 계획된 도로망. 퉁주루(通久路)-라오쥔탕루(老君堂路)-왕화루(王化路)-가오베이뎬루(高碑店路)-칭니엔루(青年路)-주셴차오중루(酒仙桥中路)-후광중제(湖光中街)-베이관좡루(北关庄路) 등이 이 개념에 속한다.

5환로[편집 | 원본 편집]

  • 총 길이: 약 98.58km
  • 개통: 2003년 11월 1일 완전 개통
  • 특징: 이전 명칭은 '베이징시 공로 1환 고속공로(北京市公路一环高速公路)'. 개통 초기 유료 도로였으나 2004년 1월 1일부터 무료인 도시 쾌속도로로 전환되었다.

5.5환로[편집 | 원본 편집]

  • 특징: 5환로와 6환로 사이의 교통 분산을 위해 계획된 도로망. 차자둥루(茶家东路)와 신국전연락선(新国展联络线) 등이 이 개념에 포함된다.

6환로[편집 | 원본 편집]

  • 총 길이: 약 187.6km
  • 개통: 2009년 9월 12일 완전 개통 (구간별 순차 개통)
  • 특징: 이전 명칭은 '베이징시 공로 2환 고속공로(北京市公路二环高速公路)'. 베이징 외곽의 제1 위성도시들을 연결하는 순환 고속도로이다. 현재 동6환로 구간은 지하화 공사가 진행 중이다.

7환로 (G95 수도지구환선고속공로)[편집 | 원본 편집]

  • 공식 명칭: 수도지구환선고속공로(首都地区环线高速公路), 국가고속도로망 번호 G95. '베이징 대외곽 순환 고속도로(北京大外环高速公路)' 또는 '대칠환(大七环)'으로도 불린다.
  • 총 길이: 약 940km
  • 개통: 2018년 8월 20일 전 구간 개통
  • 특징: 베이징 시내 순환보다는 징진지(베이징-톈진-허베이) 광역 경제권 전체를 연결하는 데 목적을 둔 대규모 순환 고속도로이다. 전체 길이의 약 90%(약 850km)가 허베이성에 속하며, 베이징시 관할 구간은 약 90km이다. 허베이성의 청더, 랑팡, 줘저우, 장자커우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한다.

각 환로 안쪽 주요 지역 및 명소[편집 | 원본 편집]

아래는 각 환로 경계선 "안쪽"에 위치한 주요 지역 및 명소 목록이다. (상위 환로는 하위 환로 안쪽 지역을 모두 포함한다.)

  • 1환로 안쪽 (개념상):
   *   자금성(고궁박물원)
   *   천안문 광장, 인민대회당, 중국국가박물관
   *   중산 공원, 노동인민문화궁, 징산 공원
  • 2환로 안쪽:
   *   첸먼 상업 거리, 다스란, 류리창
   *   베이하이 공원
   *   옹화궁, 공묘 및 국자감
   *   톈단 공원
   *   베이징역
   *   후퉁 밀집 지역 (난뤄구샹 등)
  • 3환로 안쪽:
   *   궈마오 CBD
   *   싼리툰
   *   왕푸징 (일부)
   *   베이징 동물원
   *   중국국가도서관
   *   판자위안 골동품 시장
   *   베이징 서역, 베이징 남역
  • 4환로 안쪽:
   *   중관춘
   *   베이징 대학, 칭화 대학, 중국인민대학 등 주요 대학
   *   798 예술구
   *   왕징
   *   베이징 올림픽 공원 (냐오차오, 수이리팡 등 - 4환과 5환 사이에 걸쳐 위치)
  • 5환로 안쪽:
   *   이화원
   *   원명원 유적 공원
   *   베이징 환러구(해피밸리) (동남쪽 4환 외곽, 5환 근접)
  • 6환로 안쪽:
   *   베이징 시가지 대부분 및 주요 위성도시 지역 포함.
   *   참고: 명십삼릉, 거용관 만리장성, 스화둥(석화동굴) 등 주요 외곽 관광지는 6환로 근처 또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 7환로 (G95):
   *   베이징 시내보다는 징진지 광역권의 도시들을 주로 연결하므로, '7환로 안쪽' 개념으로 베이징 시내 명소를 묶기에는 부적합하다.

최근 동향[편집 | 원본 편집]

  • 동6환로 지하화: 2019년 8월 동6환로 일부 구간(施园立交 - 環球東立交 등)을 지하화하는 계획이 승인되었으며, 2023년 2월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지하화 구간의 지상부는 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국산 최대 직경 실드 TBM '징화호(京华号)'가 이 공사에 투입되어 2023년 6월 서선 터널이 관통되었다.
  • 솽신차오 개조: 2024년 동4환로의 솽신차오(双新桥) 개조 공사가 완료되어 주교량(8월)과 부도로(10월)가 순차적으로 개통되었다.